정보광장

주요국의 AI 인재양성 정책동향 및 시사점

작성자
AI빅데이터
작성일
2023-08-31 14:49
조회
674
https://now.k2base.re.kr/portal/issue/ovseaIssued/view.do?poliIsueId=ISUE_000000000000941&menuNo=200046&pageIndex=1 (S&T GPS 2020/7/3)

1. 급성장하는 글로벌 AI 시장
-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동력인 인공지능(이하 AI)은 향후 국가 및 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주요 기술로 부상하며 글로벌 시장의 성장세가 확대될 전망
- IDC(’18)는 전 세계 AI 시장 규모를 ’18년 297억 달러에서 ’23년 963억 달러로 성장(연평균 성장률 26.5%)할 것으로 전망
- 국내 AI 시장은 ’18년 2.8억 달러에서 ’23년 6.4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17.8% 성장할 전망
- Gartner(’18)는 AI 기술로 파생될 글로벌 시장가치가 ’18년에는 전년 대비 70% 증가한 1조 2천 억 달러, ’22년에는 3조 9​천 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
- 아마존・구글・애플 등 주요 기업들은 AI 분야 주도권 확보를 위해 시각・언어지능, 기계학습 등 AI 기술에 대한 ​R&D 투자를 경쟁적으로 확대

2. 국내‧외 AI 인재 현황
- 폭증하는 AI 시장규모 확대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으로 산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AI 인재는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
- 전 세계 AI 인재 규모는 20~30만명 수준으로 추정되며, 향후 필요 인력 수요는 점차 확대되는 반면 인재육성 및 확보가 어려워 수급 불균형은 더욱 심화될 전망
- 세계 AI 시장에서 필요한 인재는 100만 명이나 전 세계 AI 인재 규모는 30만 명 (산업계 20만 명, 학계 10만 명)에 불과(Tencent, ’17)
* 매년 AI 연구소를 갖춘 교육기관 367곳에서 AI 졸업생이 약 2만 명 배출되고 있으나, 이는 수요에 비해 현저하게 부족
- ’19년 기준 세계 AI 인재 규모는 22,400명 수준(Element AI, ’19)
- AI 고급인재는 대부분 미국, 중국, 유럽에 집중되어 있으며 한국은 405명(1.8%)에 불과하는 등 인재 쏠림 현상 심각(Element AI, 2019)

3. 우리나라 AI 인재양성 정책 현황
- ‘인공지능 R&D 전략’을 통해 구체적인 AI 인재양성 목표와 추진전략을 구체화하며 본격적인 AI 인재양성 정책 시작(’18.5)
- AI 국가전략’에서는 ‘세계 최고의 AI 인재양성 및 전 국민 AI 교육’을 추진 전략으로 제시하며, 고급인재와 융합인재 육성뿐만 아니라 전 국민 대상 AI 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교육 체계 변화 추구(’19.12)
* ‘AI 고급인재’ : AI 난제 해결, 새로운 모델과 알고리즘 개발,
* ‘AI 전문인재’ : AI 플랫폼, 시스템 개발,
* ‘AI 실무인재’ AI Tool, SW​를 산업분야에 응용(AI+X)
위로 스크롤